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베드로가 초대 교황인가? (6) 완

by YUSH 2025. 4. 27.

초대 교회의 성직자 결혼 전통중세 가톨릭의 독신 강요가 어떻게 변질되었는지,
그리고 실제 교황들의 결혼·자녀 스캔들 사례까지 정리


1. 초대 교회의 성직자 결혼 (성경적 근거)

(1) 디모데전서 3:2

"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,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, 나그네를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..."

  • "감독"(ἐπίσκοπος, episkopos) = 오늘날 '주교'(bishop) 역할.
  • 한 아내의 남편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명시됨.

 즉, 초기 기독교 지도자는 결혼이 금지되지 않았고 오히려 결혼 생활의 모범이 기대됨.


(2) 디도서 1:5-6

"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되, 책망할 것이 없고, 한 아내의 남편이며, 방탕하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라야 할지니라."

  • "장로"(πρεσβύτερος, presbyteros) = 오늘날 '사제' 또는 '목사'에 해당.

 결혼과 자녀 양육은 정상적인 성직자 리더십의 필수 요건 중에 하나임.


2. 초대 교부들도 인정

  • 클레멘트 1세(로마의 클레멘트, 1세기 말):
  • "사도들은 자신들의 삶 속에서 정결하게 결혼을 유지하였고, 집안을 다스리며 신앙 안에서 자녀를 길렀다."
  • 오리게네스:
  • "많은 사도들과 초기 교회의 감독들이 결혼하여 자녀를 낳았다."

 초대 교부들은 결혼한 성직자들을 문제 삼지 않았고 오히려 당연하게 여김.


3. 중세 가톨릭의 독신 강요 (어떻게 변질됐나?)

  • 4세기 무렵부터 일부 수도사 그룹(예: 제롬, 아우구스티누스)이 독신을 이상적으로 강조하기 시작함.
  • 그러나 성직자 전체에 대해 결혼 금지가 제도화된 건 더 나중 일이다.
305년 엘비라 회의 — 성직자는 결혼 후라도 성생활 금지 요구
1123년 제1차 라테란 공의회 — 성직자의 결혼 무효 선언
1139년 제2차 라테란 공의회 — 성직자 결혼 전면 금지 확정

 12세기까지 가야 '성직자 독신 의무'가 가톨릭 공식 규정이 됨.
(베드로와는 전혀 무관한 전통)


4. 중세 교황들의 결혼·자녀 스캔들

(1) 교황 세르지우스 3세 (904–911 재위)

  • 여자 연인(마로치아)과의 사이에 아들을 낳았음.
  • 그 아들은 나중에 교황 요한 11세가 됨(?!).

(2) 교황 알렉산데르 6세 (1492–1503 재위)

  • 본명: 로드리고 보르자(Rodrigo Borgia)
  • 공공연하게 여러 여자를 두었고, 자녀도 여러 명.
  • 유명한 자녀: 체사레 보르자, 루크레치아 보르자

(3) 교황 요한 12세 (955–964 재위)

  • 로마 귀족 출신, 18세에 교황에 즉위.
  • 교황 궁전을 아예 '매춘굴'로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음.

 교황이라고 해서 성적 순결을 지켰던 것도 아니고,
오히려 심각한 부패와 타락이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.


5. 요약


초대 교회 성직자 결혼 자연스러움 (성경 + 교부 증언)
중세 교회 정치적 이유로 독신 강요 (12세기 이후 제도화)
교황들 실제로 결혼하거나 자녀 둔 경우 다수
결론 초대 교회의 모습과 후대 가톨릭 교황제는 큰 차이

결론적으로: 베드로가 초대 교황이라는 주장은

  • 성경적으로,
  • 초대 교부들의 증언으로,
  • 교회의 초기 전통으로,
  • 심지어 교황제 자체의 역사로도
    설득력이 없다.

 

 

 

반응형